jh-data1og 님의 블로그
패스트캠퍼스 ㅣ데이터분석 부트캠프 18기 3주차 본문
파이썬 기초 문법 정리
1. 자료형
1) 숫자형
- 정수형(int)
- 실수형(float)
**자료형 변환

2) 문자열
- 큰 따옴표" " 또는 작은 따옴표 ' '로 감싸져있는 형태
**문자열 반복 : * 사용

- 문자열 인덱싱/슬라이싱

- 문자열 길이 확인 : len ()
- 대문자로 변환 upper () / 소문자로 변환 lower () / 첫 글자만 대문자로 변환 capitalize ()
- 문자열 검색
-> 특정 문자열의 시작 위치 반환 find ()
-> 특정 문자열이 몇 번 등장하는지 반환 count ()
- 문자열 교체 : replace ()

- 문자열 분리 : split ()
ex) text.split (",")
- 문자열 결합 : join ()
ex) "-".join(list)
- 문자열 왼쪽 공백 제거 : lstrip () / 오른쪽 공백 제거 : rsrtip ()
- 문자열 포함 여부 : "a" in/ not in text
- 문자열 포맷팅 : format ()

3) 리스트형
- 특징
① 순서가 있음
② 값 변경 가능
③ 동일한 값 중복 허용
④ 숫자, 문자열, 리스트 다양한 자료형 포함 가능
- 빈 리스트 생성 : empty_list = [ ]
- 값 추가
append () : 리스트의 끝에 값을 추가
ex) fruits.append("cherry")
insert (index(=특정 위치), value) : 특정 위치에 값 삽입
ex) fruits.insert(1, "orange")
- 값 제거
remove () : 지정된 값 제거
pop (index) : 지정된 인덱스 값 제거 후 반환 / 인덱스 생략 시 마지막 값 제거

clear () : 모든 값 제거
- 값 검색
index () : 특정 값의 인데스를 반환
count () : 특정 값이 리스트에 몇 번 등장하는지 반환
ex) print(fruits.count("apple"))
- 리스트 정렬
sort () :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
reverse () : 역순으로 정렬
- 리스트 복사 copy ()

4) 딕셔너리
- 중괄호 안에 key와 value로 구성되어있는 형태
- 특징
① 키 - 값 쌍으로 저장
② 키 고유(중복 안됨)
③ 수정, 추가, 삭제 등 변경 가능
④ 키는 해시 가능한 값만 사용 가능( 숫자, 문자열, 튜플 등 불변자료형)
- 빈 딕셔너리 생성 : empty_dict = { }
- 딕셔너리 키로 값 접근

- 값 추가 ex) person["city"] = " N " / 값 수정 ex) person["city"] = 26
- 특정 키 삭제 : ex) del person["city"]
- 주요 메서드
- keys () / values () / items ()
- get ()
- update ()
- pop ()
5) 튜플
- 리스트형 [ ]과 거의 비슷, ( ) 괄호로 생성
- 생성 후 수정, 추가, 삭제가 불가능
- 특징
① 저장된 순서 유지
② 변경 안 됨
③ 동일한 값 중복 허용
④ 숫자, 문자열, 리스트 등 자료형 저장 가능
- 빈 튜플 생성 : empty_tuple = ( )
- 튜플 반복
- 주요 메서드
-> count () / index ()
- 튜플 언패킹
- 튜플 결합과 반복

6) 집합
- 중괄호 { }로 표현
- 특징
① 중복 제거
② 순서 없음 (인덱스, 슬라이싱 X)
③ 값 추가 및 제거 변경 가능
④ 숫자, 문자열, 튜플 등 자료형 저장 가능(리스트, 딕셔너리 포함 불가능)
- 빈 집합 생성 : emptu_set = set ()
- 집합 주요 연산
- 주요 메서드
- add(value)
- remove () / discard ()
- union () / intersection () / difference ()
- issubset () / issuperset () / cleat ()
7) 불리언
- 특징
① True / False 두가지 값만 가질 수 있음
② True = 1 / False = 0
③ 대부분의 값은 참(True)으로 평가, 다음은 거짓(False)으로 평가
- None
- 0, 0.0, 0j (숫자 0 계열)
- "" (빈 문자열)
- [], (), {} (빈 시퀀스)
- 주요 메서드
- 논리 연산자
- 비교 연산자

- 뷸형과 조건문
- 불형으로 변환 : bool () 함수

- 불형과 어울리는 함수 : any () -> 하나라도 참이면 True 반환 / all () -> 모두 참이면 True 반환

2. 제어문
1) 조건문 if
- 기본 구조
- 중첩 조건문
2) 반복문 while / for
- for문 기본 구조
- while문 기본 구조 : 조건이 True인 동안 코드를 반복 실행 / 조건 만족하지않으면 실행되지 않음.
-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
break () / continue () / pass ()
- 자주 사용되는 함수
- range (start, stop, step) : 숫자 범위 생성
- enumerate () : 리스트나 문자열 순회, 인덱스와 값을 동시에 가져옴
- zip ()
- reversed ()
3) 예외 처리 try-except
- 오류가 났을 때 대비하는 예외 처리 작업
- 기본 구조
- 다중 except 블록
- 모든 예외 처리
- else : try 블록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else 블록 실행
- finally : 오류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실행
- 주요 예외 종류
- ValueError: 잘못된 값이 입력될 때 발생.
- ZeroDivisionError: 0으로 나누려고 할 때 발생.
- FileNotFoundError: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.
- KeyError: 딕셔너리에서 존재하지 않는 키를 참조할 때 발생.
- IndexError: 리스트의 잘못된 인덱스를 참조할 때 발생